요즘 완성차의 잔존가치가 자동차업계의 이슈가 되고 있다.
잔존가치란 일정 기간 자동차를 사용한 뒤 남는 가치를 뜻한다. 일종의 중고차가치다. 흔히 '리세일 밸류'로 불리는 중고차가치는 소비자들이 신차를 선택하는 데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1,000원을 주고 신차를 사서 똑같이 3년을 탄 뒤 중고차로 팔 때 A차종이 600원을 받는 반면 B차종이 400원을 받는다면 결과적으로 B차종을 구매한 사람은 200원을 손해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잔존가치는 리스에서도 손해율이 그대로 반영된다. B차종의 잔존가치가 400원이면 리스업체는 총 600원에 대한 이자와 기타 관리비용을 리스 이용자에게 청구하지만 A차종을 리스로 운영할 때는 잔존가치 600원을 제외한 400원에 대한 이자와 관리비용만 청구한다. 같은 값이라도 잔존가치가 높을수록 소비자가 부담해야 할 리스비용은 적어지는 셈이다.
이런 이유로 국내외를 막론하고 자동차업체마다 잔존가치 높이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러나 잔존가치를 한순간에 높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브랜드와 제품력, 품질 등 신차와 마찬가지로 여러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해서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항목이 바로 품질이다. 품질은 소비자들이 인정할 때 가치가 오르는 것이지, 제조사가 품질완성도를 높였다고 스스로 자랑해봐야 아무 효과가 없다. 즉 객관적인 평가가 뒤따라야 한다는 얘기다. 국내 업체들이 해외 품질평가 및 소비자만족도 조사기관의 평가에 민감한 것도 그래서다.
잔존가치는 또 체계적인 관리가 뒷받침돼야 오를 수 있다. 그 중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 애프터서비스다. 품질완성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신차 판매 후 지속적인 애프터서비스를 통해 고객을 만족시켜야 한다. 자동차 선진업체들은 글로벌 보증기간을 통해 지역을 막론하고 세계적으로 공통된 서비스를 적용한다. 반면 국내 업체들은 지역별로 뚜렷한 차이를 두고 있다. 미국에서만 시행하는 '10년 10만마일 보증제도'가 대표적인 사례다. 미국시장의 중요성을 감안해 도입한 제도지만 국내 소비자들도 같은 대우를 원하는 건 당연한 일이다.
그럼에도 국내 업체들은 국내 소비자들을 외면하고 있다. 막강한 내수시장 지배력을 가진 국내 업체들에게 내수시장은 여전히 안정된 기반이며, 수입차시장이 커지고는 있으나 아직은 안심할 만하다고 여기는 셈이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변하고 있다. 수입차가 많이 팔리길 원하고, 가격경쟁이 더 치열하게 펼쳐지길 바라는 쪽으로 바뀌었다. 국내 업체들이 차별적인 서비스제도를 계속 시행할수록 수입차 선호 현상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서비스 차별로 국내에서 국산차의 잔존가치가 떨어지는 자충수를 두는 건 현명하지 못하다. 늦기 전에 통일된 글로벌 보증기간제도를 도입하는 게 낫다. 언제까지 자국 소비자가 외국보다 못한 보증제도를 탓해야 하는 지 안타깝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비하인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요타 "美 연비규제 강화 대비했다" (0) | 2009.05.23 |
---|---|
수입차.외제차.중고차.중고차매매,수입중고차.외제중고차,벤츠.BMW.렉서스.아우디 (0) | 2008.09.15 |
수입차 업체 진퇴양난 (0) | 2008.09.15 |
[Used Car] 고개숙인 중저가 수입 중고차 (0) | 2008.09.15 |
구당 김남수선생 (0) | 2008.09.14 |